古诗词网
最近查询
过了这村儿,没这店儿的意思 > 中韩词典 > 古诗词
古诗词网旗下中韩词典提供过了这村儿,没这店儿的意思:

汉语拼音:

【拼音】 guò le zhèi cūnr,méi zhèi diànr

过了这村儿,没这店儿韩语翻译:

〔속담〕 1. 이 마을을 지나면 이 가게가 없다.2. 〔비유〕 이번 기회를 놓치면 기회는 다시 오지 않는다. 마지막 기회이다.=[过了这个村,没这个店] 

分词翻译:

过(guò)的韩语翻译:

1. [동] (어떤 장소를) 지나다. 지나가다. 건너다.
[부연설명] ① ‘了’、‘着’、‘过’를 붙일 수 있음. ② 장소를 나타내는 목적어를 가질 수 있음.
2. [동] (일단의 시간을) 거치다. 지나다. 경과하다. 보내다.
[부연설명] ① ‘了’、‘着’、‘过’를 붙일 수 있음. ② 명사로 된 목적어를 가질 수 있음.
3. [동] (어떤 범위나 한도를) 지나다. 경과하다. 초과하다. 넘다.
[부연설명] ① ‘了’를 붙일 수 있음. ② 명사로 된 목적어를 가질 수 있음.
4. [동] (어떤 처리를) 거치게 하다.
[부연설명] ① ‘了’、‘着’、‘过’를 붙일 수 있음. ② 명사로 된 목적어를 가질 수 있음. ③ 중첩할 수 있음. ④ 공구(工具)나 도구를 나타내는 목적어를 가질 수 있음.
5. [동] (갑에서 을로) 옮기다. 변경하다.
6. [동] (눈으로) 보다. (머리로) 떠올리다. 기억하다. 돌이키다.
7. [추향동사] 동사 뒤에 쓰여 ‘거치다’, ‘지나다’의 뜻을 나타냄. [사람이나 사물이 어떤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함을 나타냄].
8. [추향동사] 동사 뒤에 쓰여 ‘방향을 바꾸다’라는 뜻을 나타냄.
9. [추향동사] 동사 뒤에 쓰여 ‘넘다’, ‘따라잡다’, ‘이기다’, ‘뛰어나다’ 등의 뜻을 나타냄.
[부연설명] 동사와 ‘过’ 사이에 ‘得’、 ‘不’를 넣을 수 있음.
10. 〔형태소〕 【화학】 과(過). [화합물의 이름 앞에 붙어 원소가 표준 비율 이상으로 결합하고 있음을 나타냄].
11. 〔방언〕 죽다. 세상을 떠나다.
12. [명] 과(過). 과실(過失). 과오(過誤).
13. 〔방언〕 전염(傳染)하다. 전염되다.

了(le)的韩语翻译:

[조] ‘了’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음.
⑴ 동태조사(動態助詞) : 동사 뒤에 쓰여 동작의 완성(完成)을 표시함. [동사에 목적어가 있으면 ‘了⑴’는 목적어 앞에 씀].
⑵ 어기조사(語氣助詞) : 구절 끝에 쓰여 어떤 상황이 변했거나, 곧 변화할 것임을 나타내며, 글귀를 이루는 작용을 함. [동사에 목적어가 있으면, ‘了⑵’는 목적어 뒤에 씀].
1. ‘동사+了⑴+목적어’의 형식.
① 일반적으로 동작의 완성을 표시함. [동작의 완성을 나타낼 뿐, 동태조사 ‘了’를 썼다고 해서 동작의 시제가 과거인 것은 아니므로 주의해야 함].
② ‘동사1+了⑴+(목적어)+(再)+(주어)+동사2’의 형식. [앞의 동작이 완성된 후, 다음 동작이 어어짐을 나타냄].
③ ‘동사1+了⑴+시량사(時量詞)’의 형식. [앞 동작이 얼마 동안의 시간을 겪은 후, 다음 동작이 시작되거나, 새로운 상태를 이룸을 나타냄. 동사 앞에 자주 ‘刚’、 ‘才’가 붙음].
④ 동사에 변화의 의미가 없어서 완성의 의미를 갖지 않는 동사 뒤에는 ‘了⑴’를 쓸 수 없음. [‘是’、 ‘姓’、 ‘好像’、 ‘觉得’、 ‘认为’、 ‘希望’、 ‘需要’、 ‘作为’、 ‘盼望’、 ‘感到’、 ‘感觉’、 ‘打算’ 등의 동사가 여기에 해당됨].
⑤ 자주 또는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동작을 표시하는 시간부사 또는 빈도부사가 나오면 그 구절의 동사 뒤에 ‘了⑴’를 쓸 수 없음. [‘天天’、 ‘每天’、 ‘正’、 ‘在’、 ‘正在’、 ‘常常’、 ‘经常’、 ‘偶尔’、 ‘时常’、 ‘一直’、 ‘总是’、 ‘老是’、 ‘往往’ 등의 부사가 여기에 해당됨].
※ 예외 : 자주 또는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동작일지라도 한 동작이 완료된 후 다음 동작이 발생함을 나타낼 때는 ‘동사1+了⑴+(목적어)+(再)+(주어)+동사2’의 형식과 같이 앞 동사 뒤에 ‘了⑴’를 쓸 수 있음.
⑥ 목적어가 동사일 경우에는 앞의 동사 뒤에 ‘了⑴’를 붙일 수 없음.
⑦ 연동구(連動句 : 두 개나 두 개 이상의 동사, 형용사가 서술어로 쓰이며 그 서술어가 하나의 주어를 설명하거나 묘사하는 구절)와 겸어구(兼語句 : 한 구절 안에 두 개의 서술어가 있고, 앞에 나오는 서술어의 목적어가 뒤에 나오는 서술어의 주어가 되는 것을 ‘겸어’라 하며 이런 동사위어구를 일컬음)에서의 ‘了⑴’는 일반적으로 뒤에 나오는 동사 뒤에 붙임.
⑧ 조동사와 함께 쓰인 동사 뒤에는 일반적으로 ‘了⑴’를 쓸 수 없으나, 몇몇 동사 뒤에 ‘了⑴’붙여서 동작에 어떤 결과가 있음을 표시하며, 이때는 결과보어로 쓰이는 ‘掉’와 그 쓰임새가 유사함. 이러한 동사에는 ‘忘’、 ‘丢’、 ‘关’、 ‘喝’、 ‘吃’、 ‘咽’、 ‘吞’、 ‘泼’、 ‘扔’、 ‘放’、 ‘洒’、 ‘涂’、 ‘抹’、 ‘擦’、 ‘砸’、 ‘碰’、 ‘摔’、 ‘磕’、 ‘撞’、 ‘踩’、 ‘杀’、 ‘宰’、 ‘伤’、 ‘冲’、 ‘卖’、 ‘还huán’、 ‘切’、 ‘毁’ 등이 있음.
2. ‘동사+목적어+了⑵’의 형식. [일정한 시간 내에 어떤 일이 새롭게 출현하거나 변화가 발생함을 나타내며, 명사, 동사, 짧은 구(句) 등이 목적어가 될 수 있음].
3. ‘동사+了⑴+목적어+了⑵’의 형식.
① 동작이 이미 완성됐음을 표시할 뿐 아니라, 어떤 상황에 변화가 생겼음을 동시에 나타냄. [이 둘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
② 구절 속에 시량사(時量詞)가 있을 경우에는 동작이 처음부터 현재 말하는 시점까지 지나온 시간만을 표시할 뿐, 모든 동작의 완성을 표시하시는 않음. 이 동작은 현재 말하고 있는 시점 이후로 계속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
4. 목적어를 가지지 않는 ‘동사+了’의 형식. [이 형식에서의 ‘了’는 ‘了⑴’(동태조사), ‘了⑵’(어기조사), ‘了⑴+了⑵’(동태조사와 어기조사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음)로 쓰일 수 있음].
① ‘동사+了⑵’의 형식. [단지 상황의 변화만을 나타내며 동작의 완성을 표시하지는 않음(동작을 완성하지 못했거나 완성해도 되고 안 해도 됨)].
② ‘동사+{了⑴+了⑵}’의 형식. [동작의 완성과 상황에 변화가 이미 발생했음을 동시에 나타냄. 앞에 ‘快’、 ‘要’를 쓸 수 없으며, ‘已经’은 쓸 수 있음].
③ ‘동사+了⑴’의 형식. [단독으로 구절을 이루지 않고, 뒷말이 이어져 동작이 완성된 후 새로운 동작이 발생하거나 어떤 상태가 출현함을 표시함. 뒷 동작의 가정(假定)을 이루는 조건이 되기도 함].
5. ‘형용사+了’의 형식. [형용사 뒤에 ‘了’를 붙여, 어떤 변화가 이미 완성되었거나 새로운 상황이 출현함을 표시할 수 있음. 즉 ‘了⑴+了⑵’의 어법적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음].
※ 주의 사항.
‘형용사+了⑵’의 형식 중 일부는 이미 출현한 상황을 긍정할 뿐, 변화를 나타내지 않기도 함.
6. ‘명사, 수량사(數量詞)+了⑵’의 형식. [새로운 상황이 이미 출현했거나 곧 출현할 것임을 나타냄].
① ‘명사+了⑵’ [변화를 표시하는 동사적 성격을 은연중에 내포하고 있음].
② ‘수량+了⑵’의 형식. [‘되다’라는 뜻을 은연중에 내포하고 있음].
7. 동태조사 ‘了’의 부정(否定) 형식 : ‘没+동사’의 형식으로 부정함.

这(zhèi)的韩语翻译:

[대] 이. 저.
[부연설명] ‘这’의 구어음(口語音)으로 뒤에 양사가 나올 때만 ‘zhèi’로 발음함.